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1:58

우리 민족, 우리나라

조회 수 900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민족, 우리나라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규정대로 단어마다 띄어 쓴다면 띄어쓰기는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밤중'과 '생각중', '우리글'과 '우리민족'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 '한밤중'과 '우리글'은 붙여 쓰고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띄어 써야 한다. '한밤중'은 한밤과 중이 합쳐져 깊은 밤을, '우리글'은 우리와 글이 합쳐져 한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이다. 반면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두 개의 단어가 나열돼 있는 구로 보아 띄어 쓴다.

이렇듯 복합어 문제는 때로 띄어쓰기의 원초적 단위인 단어의 기준조차 모호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다고 띄어쓰기의 어려움이 한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글의 특징 중 하나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능력이다. 손과 가락이 합쳐져 '손가락'이 되고 눈과 물이 결합해 '눈물'이 된다. 복합어의 띄어쓰기가 어렵긴 하나 우리글의 뛰어난 조어 능력에 수반된 사소한 번거로움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10
1126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28
1125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32
1124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34
1123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37
1122 선비 風磬 2007.01.19 10143
1121 도무지 風磬 2006.11.06 10150
1120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51
1119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55
1118 쫀쫀하다 바람의종 2007.03.28 10164
1117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169
1116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70
1115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171
1114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71
1113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172
1112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172
1111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2
1110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85
1109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186
1108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189
1107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197
1106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199
1105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