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1:58

우리 민족, 우리나라

조회 수 902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민족, 우리나라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규정대로 단어마다 띄어 쓴다면 띄어쓰기는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밤중'과 '생각중', '우리글'과 '우리민족'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 '한밤중'과 '우리글'은 붙여 쓰고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띄어 써야 한다. '한밤중'은 한밤과 중이 합쳐져 깊은 밤을, '우리글'은 우리와 글이 합쳐져 한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이다. 반면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두 개의 단어가 나열돼 있는 구로 보아 띄어 쓴다.

이렇듯 복합어 문제는 때로 띄어쓰기의 원초적 단위인 단어의 기준조차 모호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다고 띄어쓰기의 어려움이 한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글의 특징 중 하나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능력이다. 손과 가락이 합쳐져 '손가락'이 되고 눈과 물이 결합해 '눈물'이 된다. 복합어의 띄어쓰기가 어렵긴 하나 우리글의 뛰어난 조어 능력에 수반된 사소한 번거로움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91
1896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23
1895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22
189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9
1893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18
1892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15
189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114
1890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13
1889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10
1888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08
1887 노름, 놀음 바람의종 2008.08.13 9107
1886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5
1885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104
1884 안전문,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11.25 9104
1883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104
1882 일본식 용어 - ㅊ 바람의종 2008.03.14 9103
1881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01
1880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100
1879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82
1878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82
1877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75
1876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74
187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