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1:58

우리 민족, 우리나라

조회 수 901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민족, 우리나라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규정대로 단어마다 띄어 쓴다면 띄어쓰기는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한밤중'과 '생각중', '우리글'과 '우리민족'은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 '한밤중'과 '우리글'은 붙여 쓰고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띄어 써야 한다. '한밤중'은 한밤과 중이 합쳐져 깊은 밤을, '우리글'은 우리와 글이 합쳐져 한글을 의미하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이다. 반면 '생각 중'과 '우리 민족'은 두 개의 단어가 나열돼 있는 구로 보아 띄어 쓴다.

이렇듯 복합어 문제는 때로 띄어쓰기의 원초적 단위인 단어의 기준조차 모호하게 만들곤 한다. 그렇다고 띄어쓰기의 어려움이 한글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글의 특징 중 하나가 매우 생산적인 조어 능력이다. 손과 가락이 합쳐져 '손가락'이 되고 눈과 물이 결합해 '눈물'이 된다. 복합어의 띄어쓰기가 어렵긴 하나 우리글의 뛰어난 조어 능력에 수반된 사소한 번거로움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16
1896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5
1895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17
1894 공멸 바람의종 2009.07.22 8318
1893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바람의종 2010.02.23 8321
1892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24
1891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25
1890 갯벌, 개펄 바람의종 2008.10.17 8328
1889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331
1888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335
188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8
1886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40
188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46
1884 마누라 風磬 2006.11.26 8352
1883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7
1882 현수막, 횡단막 바람의종 2008.08.08 8367
1881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80
1880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82
1879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83
1878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84
1877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5
1876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387
1875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