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8 01:56

이제서야, 그제서야

조회 수 91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제서야, 그제서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 왜곡으로 한국과 일본 간에 냉기류가 흐르고 있다. 계절도 그 기미를 알아챘는지 올해는 유난히 봄이 늦었다. 벚꽃이 늦게 피는 바람에 꽃 잔치를 준비했던 지방자치단체들이 당황하기도 했다. 서울 등 북부 지역에서는 4월 후반에 접어든 이제야 활짝 핀 꽃들을 만날 수 있다. 어떤 일을 기다려 왔는데 '말하고 있는 이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그 일이 일어났다는 표현을 할 때 '이제서야' '이제서'라는 단어를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이제서야 형제의 소중함을 뼈저리게 느낀다' '지금까지 자선 사업가로 행세해 왔던 그의 실체가 이제서 드러나고 있다' 등이 그런 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이제야'가 표준어다. 또한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바로 그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라는 뜻을 나타낼 때도 '그제서야' '그제서'가 아니라 '그제야'를 쓰는 게 올바르다. 우리는 대비하지 않고 있다가 일이 터지면 그제야 갑자기 달아오르는 경향이 있다. 평소 우리의 주장을 세계에 체계적으로 홍보하는 등 좀 더 전략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4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89
1962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26
1961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24
1960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23
1959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21
1958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21
1957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20
195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220
1955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18
1954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07
1953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01
1952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00
1951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199
1950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196
1949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192
1948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188
»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188
1946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186
1945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182
1944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182
1943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82
1942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78
1941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