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9

내일 뵈요.

조회 수 894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일 뵈요.

직장인들이 퇴근하면서 윗사람에게 '내일 뵈요' 하고 인사하는 말을 흔히 듣는다. 그러나 적을 때는 '내일 봬요'라고 해야 한다. '봬요'가 발음하기 어렵고 잘 쓰이지 않아 틀린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올바른 말이다. '뵈다'를 쓰는 경우는 '보다'의 피동·사동 형태로 '눈에 뵈는 게 없다/잡지를 뵈어 주다'처럼 '보이다'의 준말과 '선생님을 뵈러 왔습니다'같이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의 뜻 세 가지다. 이들은 서로 의미는 다르지만 똑같이 '뵈고, 뵈니, 뵈어(봬), 뵈어도(봬도), 뵈어서(봬서), 뵈었다(뵀다)' 등으로 활용된다.

'눈치가 봬 오래 있을 수 없었다/선생님을 뵀다'처럼 쓰인다. '봬요'에서 '요'는 듣는 사람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그런데 '영호가 밥을 먹어요(먹요×)/그럼 내일 봐요(보요×)'처럼 용언과 어울릴 땐 어간에 바로 붙지 않고 어미가 갖춰진 뒤에 붙는다. 그러므로 '뵈-' 뒤에는 곧바로 '요'가 붙을 수 없고, '뵈어'가 된 뒤에야 '요'가 결합할 수 있다. 이 '뵈어요'가 줄어들면 '봬요'가 된다. 그러므로 '내일 봬요'가 맞는 표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61
1610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3
1609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64
1608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64
1607 눈발, 빗발, 화장발 바람의종 2012.09.27 8970
160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73
1605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73
1604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75
1603 우레 바람의종 2007.03.03 8977
1602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78
1601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78
1600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81
1599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81
1598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82
1597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85
1596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85
1595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86
1594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6
1593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86
1592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7
1591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89
1590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94
1589 바람의종 2012.09.12 89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