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9

내일 뵈요.

조회 수 894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일 뵈요.

직장인들이 퇴근하면서 윗사람에게 '내일 뵈요' 하고 인사하는 말을 흔히 듣는다. 그러나 적을 때는 '내일 봬요'라고 해야 한다. '봬요'가 발음하기 어렵고 잘 쓰이지 않아 틀린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올바른 말이다. '뵈다'를 쓰는 경우는 '보다'의 피동·사동 형태로 '눈에 뵈는 게 없다/잡지를 뵈어 주다'처럼 '보이다'의 준말과 '선생님을 뵈러 왔습니다'같이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의 뜻 세 가지다. 이들은 서로 의미는 다르지만 똑같이 '뵈고, 뵈니, 뵈어(봬), 뵈어도(봬도), 뵈어서(봬서), 뵈었다(뵀다)' 등으로 활용된다.

'눈치가 봬 오래 있을 수 없었다/선생님을 뵀다'처럼 쓰인다. '봬요'에서 '요'는 듣는 사람에게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그런데 '영호가 밥을 먹어요(먹요×)/그럼 내일 봐요(보요×)'처럼 용언과 어울릴 땐 어간에 바로 붙지 않고 어미가 갖춰진 뒤에 붙는다. 그러므로 '뵈-' 뒤에는 곧바로 '요'가 붙을 수 없고, '뵈어'가 된 뒤에야 '요'가 결합할 수 있다. 이 '뵈어요'가 줄어들면 '봬요'가 된다. 그러므로 '내일 봬요'가 맞는 표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03
2358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78
2357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58
2356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40
2355 죽을맛 바람의종 2010.05.13 11752
2354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299
2353 부분과 부문 바람의종 2010.05.13 11359
2352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24
2351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79
2350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46
2349 초생달, 초승달 바람의종 2010.05.12 15364
2348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10
2347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73
2346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43
2345 ‘가녁’과 ‘쏘다’ 바람의종 2010.05.12 13706
2344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55
2343 진검승부 바람의종 2010.05.11 8118
2342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94
2341 접두사 ‘군~’ 바람의종 2010.05.11 12374
2340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71
2339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57
2338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85
2337 아무럼 / 아무렴 바람의종 2010.05.10 81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