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7.07 02:58

나의 살던 고향은

조회 수 888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의 살던 고향은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이맘때면 떠오르는 동요 '고향의 봄'(이원수 시, 홍난파 작곡)이다. 노래 제목보다 '나의 살던 고향'이란 첫 구절이 귀에 더 익어 책 제목, 음식점 이름, 개인 홈페이지 문패 등에 두루 쓰이고 있다. 그러나 이 '나의 살던 고향'은 '의'가 잘못 쓰이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내가 살던 고향'이 정상적인 우리말 어법이다.

'정치의 변화하는 모습'은 '정치가 변화하는 ~'으로 해야 한다. 우리말에선 원래 '의'가 드물게 사용됐으나 개화기 이후 흔히 쓰이게 됐다고 한다. 이는 여러 가지 문장성분으로 쓰이는 일본어 조사 '노(の)'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의'를 남용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스스로의 약속'은 '스스로 한 약속', '타고난 저마다의 소질'은 '저마다 타고난 소질'이 우리식 표현이다.

'소득의 향상과 식생활의 서구화'도 '명사+의(の)+명사'로 이루어진 일본어식 표현으로 '의'가 필요 없다. 일본말 또는 일본식 한자어를 몰아내야 하듯이 '의'도 불필요하게 쓰진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62
1126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38
1125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85
1124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1123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67
1122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90
112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92
1120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3
1119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46
1118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169
1117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30
1116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53
1115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460
1114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67
1113 선팅, 로터리 바람의종 2009.07.06 7123
1112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4
1111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46
1110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79
»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887
1108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26
1107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189
1106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07
1105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