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30 17:36

이따가, 있다가

조회 수 790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따가, 있다가

거리에 캐럴도 울리지 않는 썰렁한 성탄절도 지나고 올해도 종착점을 향해 총총히 달려가고 있다. 예년에 비해 활기가 많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참석해야 할 송년회 자리가 적지 않다. 몇 차례 시달리고 나면 술자리 약속을 일깨우는 친구의 '이따가 보자'란 전화가 반갑지만은 않을 수도 있겠다. '이따가'라는 단어는 '있다가'와 혼동하기 쉽다.

'이따가'는 '조금 지난 뒤에'라는 뜻의 부사다. 반면 '있다가'는 '있다'의 '있-'에 연결하는 데 쓰이는 연결어미 '-다가'가 붙어서 된 말로 '머무르다가, 존재하다가, 그 상태를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지닌다. '이따가'는 단순히 뒤에 오는 동사를 꾸미는 역할을 하지만 '있다가'는 서술의 의미가 있다. 문맥을 살펴보아 단순히 '조금 지난 후에'라는 뜻이면 '이따가'를 쓰고, '있다'의 뜻이 살아 있는 경우면 '있다가'를 쓰면 된다.

예를 살펴 보자. '아무 말도 하지 마. 이따가 단둘이 있을 때 얘기하자.' '이따가 공원에 산책하러 갈까?' 이때는 '있다'의 뜻과는 상관없이 '조금 지난 뒤에' 단둘이 얘기하자거나 공원에 산책하러 가자는 것이므로 '이따가'로 쓰는 게 적절하다. '이따가'는 '이따'로 줄여 쓸 수도 있다. '가지 말고 여기에 있다가 단둘이 이야기하자' '술래는 눈 감고 1분 있다가 숨은 아이들을 찾아야 한다'의 경우는'(여기에) 있다/ (눈 감고) 있다'라는 서술의 의미가 있으므로 '있다가'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74
1126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741
1125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24
1124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927
1123 억수 風磬 2007.01.19 8858
1122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40
1121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88
1120 억수로 좋노? 바람의종 2009.08.27 5633
1119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111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9.08.02 10544
1117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8
1116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803
1115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65
1114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1040
1113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70
111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351
111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605
1110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273
1109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72
1108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20
1107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355
1106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102
1105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