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30 17:33

바라+겠

조회 수 637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라+겠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며 서로 인사를 주고받기 바쁘다. 인사 중에는 '연말 잘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더욱 건강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등과 같이 '바라겠습니다'는 표현이 많이 나온다. '바라다'는 소원대로 어떤 일·상태가 이루어졌으면 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상대가 그렇게 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의지가 담겨 있다. '겠'은 미래의 일·추측(곧 눈이 오겠구나), 의지(반드시 취직하고야 말겠다), 가능성·능력(삼척동자도 알겠다) 등을 나타내는 어미다. 완곡하게 말할 때(내년엔 공부를 더 열심히 하면 좋겠구나)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바라다'는 그 자체에 말하는 사람의 기원·의지가 담겨 있으므로 '겠'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겠'이 첨가된 '바라겠다' '바라겠습니다'는 어색한 표현이다. '연말 잘 보내기 바란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처럼 '바란다' '바랍니다'로 충분하다. TV에서도 이런 표현이 자주 나온다. 아나운서가 '박수로 맞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열심히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히 계시기 바라겠습니다' 등의 말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니겠습니까' '않았겠습니까'도 마찬가지다. '오늘이 새해 첫날이 아니겠습니까' '우리가 월드컵 4강에 오르지 않았겠습니까'도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스꽝스러운 말이다. '겠'을 빼고 '새해 첫날이 아닙니까' '4강에 오르지 않았습니까' 등으로 해야 한다. 쓸데없이 '겠'을 넣어 말을 늘어지게 하거나 어색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850
1478 덕아웃이 아니고 왜 더그아웃? 바람의종 2010.01.06 9607
1477 옷깃을 여미다 바람의종 2010.01.06 12965
1476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32
1475 초죽음 바람의종 2010.01.06 10864
1474 고래 file 바람의종 2010.01.08 7632
1473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74
1472 꼽다시 바람의종 2010.01.08 10562
1471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67
1470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52
1469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40
1468 앙사리 바람의종 2010.01.09 8687
1467 러닝셔츠 바람의종 2010.01.09 7678
1466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9
146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51
1464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39
1463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86
1462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7
1461 옴시레기 file 바람의종 2010.01.10 7182
1460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24
1459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326
1458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71
1457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