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30 17:33

바라+겠

조회 수 635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바라+겠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며 서로 인사를 주고받기 바쁘다. 인사 중에는 '연말 잘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더욱 건강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등과 같이 '바라겠습니다'는 표현이 많이 나온다. '바라다'는 소원대로 어떤 일·상태가 이루어졌으면 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상대가 그렇게 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의지가 담겨 있다. '겠'은 미래의 일·추측(곧 눈이 오겠구나), 의지(반드시 취직하고야 말겠다), 가능성·능력(삼척동자도 알겠다) 등을 나타내는 어미다. 완곡하게 말할 때(내년엔 공부를 더 열심히 하면 좋겠구나)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바라다'는 그 자체에 말하는 사람의 기원·의지가 담겨 있으므로 '겠'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겠'이 첨가된 '바라겠다' '바라겠습니다'는 어색한 표현이다. '연말 잘 보내기 바란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처럼 '바란다' '바랍니다'로 충분하다. TV에서도 이런 표현이 자주 나온다. 아나운서가 '박수로 맞아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열심히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안녕히 계시기 바라겠습니다' 등의 말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니겠습니까' '않았겠습니까'도 마찬가지다. '오늘이 새해 첫날이 아니겠습니까' '우리가 월드컵 4강에 오르지 않았겠습니까'도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스꽝스러운 말이다. '겠'을 빼고 '새해 첫날이 아닙니까' '4강에 오르지 않았습니까' 등으로 해야 한다. 쓸데없이 '겠'을 넣어 말을 늘어지게 하거나 어색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21
1126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20
1125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47
1124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4
1123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55
1122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3
1121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697
1120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26
1119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76
1118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798
1117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13
1116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1
1115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595
1114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00
1113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37
1112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45
1111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552
1110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275
1109 여보 바람의종 2010.07.05 13991
1108 단감 바람의종 2010.07.05 10262
1107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71
1106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47
1105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