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29 20:32

난이도, 난도

조회 수 1198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이도, 난도

2005학년도 대입 수학능력 시험 결과가 얼마 전 전국의 수험생들에게 일제히 배포됐다. 수능시험 성적에 따라 학생들 사이에서 희비가 엇갈리는 가운데 대입을 향한 소신 지원과 '눈치작전'이 시작됐다. 수능시험이 끝나면 언제나 나오는 것이 바로 시험 문제의 난이도에 관한 얘기다.

올림픽 때 벌어지는 체조나 다이빙 경기 등에서는 선수들이 선택하는 기술에 따라 난도 2.5, 3.0 등 난도가 높다, 낮다 등으로 잘 쓰다가도 시험과 관련해선 난이도가 높다느니 낮다느니 한다. '난이도'를 '난도'와 같은 뜻으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보자. '난이도를 낮추어 문제가 쉬워졌다.' '난이도가 매우 높다.' 첫째 예문은 의미상 올바른 문장이 아니다.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를 뜻한다. 곧 '난도'와 '이도'를 합친 것으로, 어려운 정도와 쉬운 정도를 한꺼번에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문제가 쉬워졌다'라는 의미로 쓰려면 '난이도'가 아니라 '난도'를 써서 '난도를 낮추어 문제가 쉬워졌다'로 해야 바른 문장이 된다.

둘째 예문도 매우 어렵다는 말을 이렇게 표현한 것 같은데 올바른 말이 아니다. '난도가 매우 높다'라고 해야 옳다. '올해 수능의 일부 선택과목에선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바르게 쓴 예다. 문제의 '난도'가 높을수록 해결하기 어렵고, '난도'가 낮을수록 해결하기가 쉬워진다. 이 어렵고 쉬운 정도를 적절히 조화시키기 위해, 성적의 상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에 대한 변별력을 갖추기 위해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59
1654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69
1653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46
1652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18
16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1
1650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268
1649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443
1648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93
1647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64
1646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89
1645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118
1644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565
1643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63
1642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721
1641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362
1640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2
1639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45
1638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1
1637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79
1636 바람의종 2013.01.25 17979
1635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50
1634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486
1633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2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