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79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성탄절이 가까워지면서 밤거리에 나서면 나무며 건물에 네온 장식이 찬란하다. 아름다운 불빛을 보며 사람들은 잠시 시름을 잊는다. 그러나 화려한 저 불빛에 눈길을 줄 여유조차 없는 가엾은 이도 많다. 얼마 전 장애인 부모를 둔 다섯 살짜리 어린애가 영양실조로 죽었다는 뉴스가 있었다. 아이의 부모는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장애인 등록이나 기초생활 수급 신청 방법을 잘 몰라 하지 못했다. 어렵다 해도 여전히 먹을 것은 남아도는 이 시대에 아이가 굶어 죽을 때까지 몰랐다니. 이웃에 무심했음을 반성하게 하는 소식이다.

마음이 아플 만큼 딱하고 불쌍함을 표현할 때 '가엾은' 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가여운' 이라고 쓰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쓰는 게 맞는 것일까. 이 경우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둘 다 맞다. '가엾다'와 '가엽다'가 복수표준어이기 때문이다. '가엾다'에서 활용하면 '가엾어, 가엾으면, 가엾고, 가엾은'이 되고 '가엽다'에서 활용하면 '가여워, 가여우면, 가엽고, 가여운'이 된다.

이와 비슷한 사례를 더 찾아보자. 우선 '서럽다/섧다'를 들 수 있다. '서럽다'에서 활용하면 '서러워, 서러우면, 서럽고, 서러운'이 되고 '섧다'에서 활용하면 '설워, 설우면, 섧고, 설운'이 된다.

'여쭈다/여쭙다'도 둘 다 표준어다. 그래서 '여쭈어, 여쭈면, 여쭈고'와 '여쭈워, 여쭈우면, 여쭙고'의 형태를 다 쓸 수 있다. 자선냄비의 종소리가 발길을 붙잡는 세밑이다. 가여운 사람들에게 나눔의 손길이 분주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76
1654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69
1653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846
1652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496
16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1
1650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260
1649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433
1648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93
1647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57
1646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89
1645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113
1644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553
1643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63
1642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86
1641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350
1640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2
1639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45
1638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61
1637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79
1636 바람의종 2013.01.25 17979
1635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150
1634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1462
1633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