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67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성탄절이 가까워지면서 밤거리에 나서면 나무며 건물에 네온 장식이 찬란하다. 아름다운 불빛을 보며 사람들은 잠시 시름을 잊는다. 그러나 화려한 저 불빛에 눈길을 줄 여유조차 없는 가엾은 이도 많다. 얼마 전 장애인 부모를 둔 다섯 살짜리 어린애가 영양실조로 죽었다는 뉴스가 있었다. 아이의 부모는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장애인 등록이나 기초생활 수급 신청 방법을 잘 몰라 하지 못했다. 어렵다 해도 여전히 먹을 것은 남아도는 이 시대에 아이가 굶어 죽을 때까지 몰랐다니. 이웃에 무심했음을 반성하게 하는 소식이다.

마음이 아플 만큼 딱하고 불쌍함을 표현할 때 '가엾은' 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가여운' 이라고 쓰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쓰는 게 맞는 것일까. 이 경우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둘 다 맞다. '가엾다'와 '가엽다'가 복수표준어이기 때문이다. '가엾다'에서 활용하면 '가엾어, 가엾으면, 가엾고, 가엾은'이 되고 '가엽다'에서 활용하면 '가여워, 가여우면, 가엽고, 가여운'이 된다.

이와 비슷한 사례를 더 찾아보자. 우선 '서럽다/섧다'를 들 수 있다. '서럽다'에서 활용하면 '서러워, 서러우면, 서럽고, 서러운'이 되고 '섧다'에서 활용하면 '설워, 설우면, 섧고, 설운'이 된다.

'여쭈다/여쭙다'도 둘 다 표준어다. 그래서 '여쭈어, 여쭈면, 여쭈고'와 '여쭈워, 여쭈우면, 여쭙고'의 형태를 다 쓸 수 있다. 자선냄비의 종소리가 발길을 붙잡는 세밑이다. 가여운 사람들에게 나눔의 손길이 분주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880
2336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036
2335 안갯속 바람의종 2010.06.19 8740
2334 ‘강시울’과 ‘뒤매’ 바람의종 2010.06.20 13347
2333 마스카라 바람의종 2010.06.20 13837
2332 -가량(假量) 바람의종 2010.06.20 10432
2331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47
2330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75
2329 단감 바람의종 2010.07.05 10267
2328 여보 바람의종 2010.07.05 14010
2327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281
2326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602
2325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53
2324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076
2323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611
2322 늙은이 바람의종 2010.07.10 9595
2321 독불장군 바람의종 2010.07.10 9656
2320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22
2319 쉼표 하나 바람의종 2010.07.12 8801
2318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76
2317 칠칠하다 바람의종 2010.07.12 10626
2316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738
2315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