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16

발목이 접(겹)질려

조회 수 986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목이 접(겹)질려

요즘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이 바깥 활동을 줄이기 때문에 운동량이 부족하기 쉽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운동이 필수적인데,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권장된다. 겨울철에 등산이나 조깅을 할 때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땅이 굳어 있고 길이 미끄러울 뿐 아니라 근육이 수축돼 있어 '발목을 접지르기' 쉽기 때문이다. 요즘 주위에서 등산이나 조깅 중에 '발목을 접질러' 한의원이나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위 글의 '발목을 접지르기, 발목을 접질러'라는 표현은 사람들이 자주 쓰지만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발목을 접질리기, 발목을 접질려'라고 써야 한다. '(발목·팔목 등의 관절이) 심한 충격으로 지나치게 접혀서 삔 지경에 이르다'를 뜻하는 단어는 '접지르다'가 아니라 '접질리다'이기 때문이다. '접질리다'의 어간 '접질리-'에 '-기, -어'가 붙어 이뤄진 형태다. '접질리다'는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 발목이 접질려 걷지 못한다'와 같이 자동사·타동사를 구별하지 않고 쓰인다. 그러므로 '팔목이 접질려 병원에 갔다, 접질린 발목이 아프다,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처럼 '접질리어(접질려), 접질린, 접질렸다' 등으로 활용된다.

'몸의 근육이나 관절이 제 방향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지나치게 빨리 움직여서 다치다'를 뜻하는 '겹질리다'도 마찬가지다. 우리말에 '접(겹)지르다'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동사·타동사 모두 '접(겹)질리다'만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82
123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7
1235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37
1234 애시당초 바람의종 2010.03.03 7636
123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35
1232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634
1231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31
1230 띄어쓰기 - "만" 바람의종 2008.10.23 7631
1229 잊혀진(?) 계절 바람의종 2008.05.27 7628
1228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2
1227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618
1226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16
1225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5
122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03
1223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02
1222 칠칠한 맞춤법 바람의종 2008.04.25 7600
1221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595
1220 깡패 바람의종 2008.02.03 7592
1219 진작에 바람의종 2010.03.07 7591
1218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89
1217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586
1216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584
1215 싸게 가더라고! 바람의종 2009.10.01 75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