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16

발목이 접(겹)질려

조회 수 986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목이 접(겹)질려

요즘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이 바깥 활동을 줄이기 때문에 운동량이 부족하기 쉽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운동이 필수적인데,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권장된다. 겨울철에 등산이나 조깅을 할 때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땅이 굳어 있고 길이 미끄러울 뿐 아니라 근육이 수축돼 있어 '발목을 접지르기' 쉽기 때문이다. 요즘 주위에서 등산이나 조깅 중에 '발목을 접질러' 한의원이나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위 글의 '발목을 접지르기, 발목을 접질러'라는 표현은 사람들이 자주 쓰지만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발목을 접질리기, 발목을 접질려'라고 써야 한다. '(발목·팔목 등의 관절이) 심한 충격으로 지나치게 접혀서 삔 지경에 이르다'를 뜻하는 단어는 '접지르다'가 아니라 '접질리다'이기 때문이다. '접질리다'의 어간 '접질리-'에 '-기, -어'가 붙어 이뤄진 형태다. '접질리다'는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 발목이 접질려 걷지 못한다'와 같이 자동사·타동사를 구별하지 않고 쓰인다. 그러므로 '팔목이 접질려 병원에 갔다, 접질린 발목이 아프다,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처럼 '접질리어(접질려), 접질린, 접질렸다' 등으로 활용된다.

'몸의 근육이나 관절이 제 방향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지나치게 빨리 움직여서 다치다'를 뜻하는 '겹질리다'도 마찬가지다. 우리말에 '접(겹)지르다'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동사·타동사 모두 '접(겹)질리다'만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92
196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787
196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2
1960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44
1959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95
1958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7
195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69
195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17
1955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4
1954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89
195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22
195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96
1951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36
1950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07
1949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24
194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8
1947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23
194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93
1945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485
1944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26
194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26
1942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2
1941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