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7 09:16

발목이 접(겹)질려

조회 수 993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목이 접(겹)질려

요즘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이 바깥 활동을 줄이기 때문에 운동량이 부족하기 쉽다.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운동이 필수적인데,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 권장된다. 겨울철에 등산이나 조깅을 할 때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땅이 굳어 있고 길이 미끄러울 뿐 아니라 근육이 수축돼 있어 '발목을 접지르기' 쉽기 때문이다. 요즘 주위에서 등산이나 조깅 중에 '발목을 접질러' 한의원이나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위 글의 '발목을 접지르기, 발목을 접질러'라는 표현은 사람들이 자주 쓰지만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발목을 접질리기, 발목을 접질려'라고 써야 한다. '(발목·팔목 등의 관절이) 심한 충격으로 지나치게 접혀서 삔 지경에 이르다'를 뜻하는 단어는 '접지르다'가 아니라 '접질리다'이기 때문이다. '접질리다'의 어간 '접질리-'에 '-기, -어'가 붙어 이뤄진 형태다. '접질리다'는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 발목이 접질려 걷지 못한다'와 같이 자동사·타동사를 구별하지 않고 쓰인다. 그러므로 '팔목이 접질려 병원에 갔다, 접질린 발목이 아프다, 빙판에 넘어지면서 손목을 접질렸다'처럼 '접질리어(접질려), 접질린, 접질렸다' 등으로 활용된다.

'몸의 근육이나 관절이 제 방향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지나치게 빨리 움직여서 다치다'를 뜻하는 '겹질리다'도 마찬가지다. 우리말에 '접(겹)지르다'라는 말은 존재하지 않으며, 자동사·타동사 모두 '접(겹)질리다'만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4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1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787
2226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89
2225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88
2224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85
2223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84
2222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83
2221 장사 잘돼? 바람의종 2008.06.11 9972
2220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69
2219 예쁜 걸, 예쁜걸 바람의종 2009.07.31 9961
2218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59
2217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53
2216 일본식 용어 - 개~계 바람의종 2008.03.04 9952
2215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52
2214 아구, 쭈꾸미 바람의종 2011.11.13 9951
2213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49
2212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45
2211 부축빼기 바람의종 2010.01.08 9945
2210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43
2209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940
2208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938
2207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33
2206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30
»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