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8

소라색, 곤색

조회 수 818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라색, 곤색

별빛마을ㆍ사랑마을 등 서울 주변 신도시엔 순 우리말로 된 아파트 단지가 많다. 요즘엔 ○○타운ㆍ○○파크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외국어 바람은 아파트뿐 아니라 옷ㆍ화장품ㆍ자동차 등에도 거세다. 특히 색깔을 표시할 때 핑크ㆍ레드ㆍ블루 등으로 쓰는 게 너무나 자연스럽다. 핑크로즈ㆍ와인레드ㆍ베이비블루 등 영어 색상명을 그대로 옮겨 오는 경우도 흔하다. 우리말이 외국어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게다가 과거의 일본식 표기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하늘거리는 소라색 원피스를 입은 네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등 일상 대화에서 무심코 쓰는 소라색이 대표적이다. 소라색은 일본어 '소라이로(空色, そらいろ)'에서 온 말이다. 하늘을 뜻하는 '공(空)'은 일본어 '소라(そら)'로 읽고 '색(色)'은 우리말 한자 독음으로 읽은 일본식 한자어다. 그러나 하늘색이라는 우리말이 있는데 소라색이라고 쓸 이유가 없다. 곤색도 마찬가지다. 일본어 '곤(紺, こん)'과 '색'으로 구성된 말로 검푸른 빛을 띤 짙은 남색을 가리킨다. 심지어 '검다'란 뜻의 구로(黑:くろ)를 붙여 '구로곤색'이라고도 한다. "면접 때는 곤색 양복을 입는 게 단정해 보인다" "그는 구로곤색의 경찰복을 입고 있었다" 등의 문장에서 곤색. 구로곤색은 검남색ㆍ진남색으로 바꿔 써야 한다.

감색(紺色)이라고도 하나 자연의 색깔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은 우리말의 특성상 과일의 주홍빛을 떠올릴 수 있어 검남색ㆍ진남색으로 쓰는 게 좋다. 일본식 한자어는 바꿔 쓸 수 있는 우리말이 얼마든지 있다. 이제부터라도 외국어에 뺏긴 우리말의 빛깔을 찾아 주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30
1830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02
1829 선택사양 바람의종 2009.06.11 6705
1828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494
1827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66
1826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07
1825 세모, 세밑 바람의종 2009.06.12 7128
1824 죽갔쉐다래 바람의종 2009.06.15 6359
1823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1822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4
1821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779
1820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0
1819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332
1818 말할 자격 바람의종 2009.06.16 7411
1817 공쿠르, 콩쿠르 바람의종 2009.06.16 5762
»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86
1815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0
1814 줄이·존이 바람의종 2009.06.17 6373
1813 엘레지 바람의종 2009.06.17 7484
1812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478
1811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1
181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78
1809 일자리 바람의종 2009.06.29 62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