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5 02:20

에다 / 에이다

조회 수 1025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다 / 에이다

한겨울에 기온이 뚝 떨어지고 찬 바람이 불면 마치 살점이 떨어져 나가는 것 같은 추위를 느끼게 된다. 이런 추위를 표현할 때 사람들은 '에다, 에이다'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한다. '겨울밤 땅 위에선 추위가 살을 에는 듯해도 밤하늘엔 별꽃이 만개해 있어 따뜻한 열기를 느낄 수 있다.' '동(冬)장군이 내뿜는 매서운 바람 때문에 살이 에이는 듯 춥다.' '어찌나 추운지 '살이 에는' 듯한 겨울바람을 옷깃으로 막았다.' '문풍지 사이로 드는 바람에 얼굴을 가져가면 찬 기운이 '살을 에이는' 것 같다.'

사람들이 '에다'와 '에이다'를 잘 구별하지 못하는 것 같다. 이는 예전 사전에서 두 단어를 본딧말과 변한말로 처리한 것에도 원인이 있다. 그러나 두 단어는 그 쓰임이 각기 다르다. 위 예문에서도 뒤에 있는 두 문장은 맞춤법에 어긋난다. '살이 에는'은 '살이 에이는'으로, '살을 에이는'은 '살을 에는'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칼 따위로 도려내듯 베다, 마음을 몹시 아프게 하다'를 뜻하는 '에다'는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다. 그러므로 목적격조사(-을/를)를 동반한다(갑자기 가슴을 에는 듯한 슬픔이 몰아쳤다).

반면 '에이다'는 '에다'의 피동 형태로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주어에만 미치는 자동사다. 따라서 주격조사(-이/가)와 함께 많이 쓰인다(상처가 너무 깊어 살이 에이는 듯하다, 가슴이 에이는 듯한 아픔이었다). 자꾸 혼동된다면 '살(가슴)을 에다/ 살(가슴)이 에이다'처럼 묶어서 기억하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67
110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363
1103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47
110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9
1101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910
1100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99
109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72
109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50
10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252
10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56
1095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377
1094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24
1093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46
1092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88
109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72
1090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750
108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92
108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31
1087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30
108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24
10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54
»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51
1083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