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2 04:01

세모, 세밑

조회 수 715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모, 세밑

거리엔 자선냄비가 따스한 손길을 기다리고, 크리스마스 장식이 눈에 띈다. 송년 모임도 열리고 있지만 그리 밝은 표정은 아니다. 연말이면 누구보다 서글픈 사람들이 의지할 데 없는 불우이웃이다. 경기 침체를 타고 이들을 찾는 사람이 부쩍 줄었다고 한다.

한 해의 마지막인 이때를 표현하는 말로 '연말' 외에 '세밑' '세모'를 많이 쓴다. '세밑'은 해를 뜻하는 한자어 '세(歲)'와 순 우리말 '밑'이 결합한 형태다. '세모(歲暮)'는 해(歲)가 저문다(暮)는 뜻의 한자어다. 일본에서는 오세보(お歲暮)라고 해서 12월 15일을 전후해 주위 사람들에게 지난 1년간 고마움의 표시로 선물을 보내는 풍속이 있다. 백화점 등도 이때를 맞춰 선물 판매에 열을 올리고 일본 전체가 술렁인다. 추석 때인 오쥬겐(お中元)과 더불어 1년에 두 번 공식적으로 선물을 주고받는 행사다. 우리나라에도 조선시대 때 세말(歲末)에 그 지방의 특산물을 스승·친척·친구 등에게 보내는 세의(歲儀)라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눈여겨볼 것은 '세모'라는 단어다. 일본과 달리 우리에겐 원래 익숙한 말이 아니다. '세말'외에 세종(歲終), 세저(歲底), 연종(年終) 등의 한자어가 있지만 '세모'는 일본식 한자어라는 얘기다. 국립국어연구원도 '세모'를 우리식으로 '세밑'으로 쓸 것을 권하고 있다. 이왕이면 '세모'보다 '세밑'으로 쓰는 게 낫다. 그 '세밑'도 끼리끼리 주고받고 인사하기보다 불우이웃과 따스한 정을 나누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85
1632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79
1631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98
1630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58
1629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628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792
1627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90
1626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94
1625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92
1624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94
1623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93
1622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507
1621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684
1620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692
1619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330
161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41
1617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460
1616 거래선, 거래처 바람의종 2009.09.24 10717
1615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68
1614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79
1613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33
1612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85
1611 옥의 티, 옥에 티 바람의종 2009.09.26 106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