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6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친숙한 외래어 또는 외국어인데도 한글로 옮길 때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있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몇 개 살펴보자. 제2차 세계대전 후 정치체제가 안정되지 못한 신생국들에는 군사정변이 잦았다. 특히 1950, 60년대 아직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한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런 사태가 빈발했다. 58년 파키스탄의 아유브 칸 정권, 62년 버마의 네윈 정권, 65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정권 등이 아시아에서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한 대표적 사례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몇 차례 정변을 겪었다. 이런 군사정변을 일컬어 '쿠테타'라고 표기하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쿠테타가 아니라 쿠데타(coup d'tat)가 바른 한글 표기다. 이것은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다.

군사정변 뉴스에서 탱크와 함께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막아놓는 통행 차단물이다. 방책(防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바리케이트'라고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바리케이드(barricade)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이것과 뒷부분의 발음이 유사해서 그런지 포장마차에서 불을 밝히거나 감에서 떫은맛을 제거하는 데 많이 썼던 카바이드(carbide·탄화칼슘)도 '카바이트'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군사정변에는 총과 칼이 동원되지만, 질병과 싸우는 병원에서는 약과 주사를 쓴다. 주사에 사용되는, 총알처럼 생긴 일회용 주사액 병을 흔히 '앰플'이라고 표기하는데 앰풀(ampoule)이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26
1830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28
1829 맞장(맞짱) 바람의종 2009.09.27 9677
1828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500
182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5
1826 옥의 티, 옥에 티 바람의종 2009.09.26 10617
1825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03
1824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895
1823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1
1822 돌림말 바람의종 2009.09.26 7759
1821 거래선, 거래처 바람의종 2009.09.24 10685
1820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73
1819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1
1818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80
1817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606
1816 '같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3 12590
1815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464
1814 복구, 복귀 바람의종 2009.09.23 9667
1813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758
1812 짜다라 가 와라 바람의종 2009.09.23 11359
1811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62
1810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63
1809 '막'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2 117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