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3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친숙한 외래어 또는 외국어인데도 한글로 옮길 때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있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몇 개 살펴보자. 제2차 세계대전 후 정치체제가 안정되지 못한 신생국들에는 군사정변이 잦았다. 특히 1950, 60년대 아직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한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런 사태가 빈발했다. 58년 파키스탄의 아유브 칸 정권, 62년 버마의 네윈 정권, 65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정권 등이 아시아에서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한 대표적 사례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몇 차례 정변을 겪었다. 이런 군사정변을 일컬어 '쿠테타'라고 표기하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쿠테타가 아니라 쿠데타(coup d'tat)가 바른 한글 표기다. 이것은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다.

군사정변 뉴스에서 탱크와 함께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막아놓는 통행 차단물이다. 방책(防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바리케이트'라고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바리케이드(barricade)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이것과 뒷부분의 발음이 유사해서 그런지 포장마차에서 불을 밝히거나 감에서 떫은맛을 제거하는 데 많이 썼던 카바이드(carbide·탄화칼슘)도 '카바이트'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군사정변에는 총과 칼이 동원되지만, 질병과 싸우는 병원에서는 약과 주사를 쓴다. 주사에 사용되는, 총알처럼 생긴 일회용 주사액 병을 흔히 '앰플'이라고 표기하는데 앰풀(ampoule)이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9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72
1148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079
1147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80
1146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080
1145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082
1144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6
1143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087
1142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089
1141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092
1140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094
1139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094
1138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098
1137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106
113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9
1135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2
1134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14
1133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16
1132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19
1131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19
1130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21
1129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22
1128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123
1127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