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3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친숙한 외래어 또는 외국어인데도 한글로 옮길 때 잘못 쓰기 쉬운 단어들이 있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몇 개 살펴보자. 제2차 세계대전 후 정치체제가 안정되지 못한 신생국들에는 군사정변이 잦았다. 특히 1950, 60년대 아직 민주주의가 정착하지 못한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서 이런 사태가 빈발했다. 58년 파키스탄의 아유브 칸 정권, 62년 버마의 네윈 정권, 65년 인도네시아 수하르토 정권 등이 아시아에서 군사정변을 통해 집권한 대표적 사례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몇 차례 정변을 겪었다. 이런 군사정변을 일컬어 '쿠테타'라고 표기하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쿠테타가 아니라 쿠데타(coup d'tat)가 바른 한글 표기다. 이것은 프랑스어에서 온 단어다.

군사정변 뉴스에서 탱크와 함께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막아놓는 통행 차단물이다. 방책(防柵)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바리케이트'라고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바리케이드(barricade)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이것과 뒷부분의 발음이 유사해서 그런지 포장마차에서 불을 밝히거나 감에서 떫은맛을 제거하는 데 많이 썼던 카바이드(carbide·탄화칼슘)도 '카바이트'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군사정변에는 총과 칼이 동원되지만, 질병과 싸우는 병원에서는 약과 주사를 쓴다. 주사에 사용되는, 총알처럼 생긴 일회용 주사액 병을 흔히 '앰플'이라고 표기하는데 앰풀(ampoule)이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4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902
1148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57
1147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1146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588
1145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0
1144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548
1143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10
114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18
1141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4
1140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9
1139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52
1138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1
1137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33
113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36
1135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38
1134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59
1133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13
1132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3
1131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631
1130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09
1129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6
112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87
1127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