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824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과거 우리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것은 '달디단' 다방 커피다.' '이렇듯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아랫목에서 마시는 '달디단' 감주 한 그릇이 생각난다.' '인생에서 '달디단' 결실은 '쓰디쓴'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형용사의 뜻을 강조할 때 쓰는 방법 중 하나는 그 어간을 반복해 사용하는 것이다. 앞글에서 '달디단, 쓰디쓴'은 '달다, 쓰다'라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두 어간 사이에 어미 '-디-'를 붙여 '매우 달다, 매우 쓰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법은 '-디-'를 붙이는 것 말고도 '-나-, -고-'를 붙이는 형태(기나길다, 머나멀다/ 하고많다)가 있다. 그러나 '-고-'의 형태는 '하고많다('하다'는 '많다'의 고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길고 길다, 멀고 멀다 등).

그런데 '달디단'이란 말은 널리 쓰이지만 맞춤법엔 어긋난다. 기본형이 '다디달다'이므로 '다디단'이라고 써야 옳다. 한글 맞춤법에서 끝소리가 'ㄹ'인 말과 다른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끝소리 'ㄹ' 은 대체로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한다(따님, 다달이, 마소, 싸전 등).

'아주 가늘고 작다, 성질이 아주 좀스럽다'를 뜻하는 '자디잘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글씨가 자디잘아서 읽기가 어렵다/ 남자가 그렇게 자디잘아서야 어디 쓰겠느냐). 그러나 '매우 길다'를 나타내는 '길디길다'(길디긴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다)는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74
1148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50
1147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50
1146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51
1145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2
1144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156
114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60
1142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60
1141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1140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1139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81
1138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1137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186
1136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88
1135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95
1134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9
1133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200
1132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10
1131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211
1130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212
1129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1128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213
1127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