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79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과거 우리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것은 '달디단' 다방 커피다.' '이렇듯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아랫목에서 마시는 '달디단' 감주 한 그릇이 생각난다.' '인생에서 '달디단' 결실은 '쓰디쓴'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형용사의 뜻을 강조할 때 쓰는 방법 중 하나는 그 어간을 반복해 사용하는 것이다. 앞글에서 '달디단, 쓰디쓴'은 '달다, 쓰다'라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두 어간 사이에 어미 '-디-'를 붙여 '매우 달다, 매우 쓰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법은 '-디-'를 붙이는 것 말고도 '-나-, -고-'를 붙이는 형태(기나길다, 머나멀다/ 하고많다)가 있다. 그러나 '-고-'의 형태는 '하고많다('하다'는 '많다'의 고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길고 길다, 멀고 멀다 등).

그런데 '달디단'이란 말은 널리 쓰이지만 맞춤법엔 어긋난다. 기본형이 '다디달다'이므로 '다디단'이라고 써야 옳다. 한글 맞춤법에서 끝소리가 'ㄹ'인 말과 다른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끝소리 'ㄹ' 은 대체로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한다(따님, 다달이, 마소, 싸전 등).

'아주 가늘고 작다, 성질이 아주 좀스럽다'를 뜻하는 '자디잘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글씨가 자디잘아서 읽기가 어렵다/ 남자가 그렇게 자디잘아서야 어디 쓰겠느냐). 그러나 '매우 길다'를 나타내는 '길디길다'(길디긴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다)는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61
2314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175
2313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70
2312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69
2311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59
2310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59
2309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57
2308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156
2307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148
2306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45
2305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39
2304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36
2303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36
2302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31
2301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29
2300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28
2299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25
2298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25
2297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122
2296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9
2295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115
2294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15
2293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