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by 바람의종 posted Jun 01,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세기의 미인'으로 불렸던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결혼과 이혼을 반복하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세 번째 남편이 죽은 뒤 또다시 스캔들이 나자 비난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그러나 "날더러 어쩌라고? 혼자 살란 말이냐?"며 일축하고 다섯 번이나 결혼식을 더 올려 문화적 충격을 던져 줬다. 이젠 일화가 돼 버린 그의 말처럼 평소 사람들이 "날더러 그 말을 믿으란 거냐" "날더러 누구냐고 묻더군" 등으로 쓰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날더러'는 바른 표기가 아니다. '날더러'는 '나+ㄹ+더러'로 구성돼 있다. '나'는 일인칭 대명사, '-ㄹ'은 받침 없는 체언에 붙어 '-를'보다 구어적으로 쓰이는 목적격 조사, '-더러'는 한테.보고와 함께 입말에서 '-에게' 대신 많이 사용하는 부사격 조사다. 격조사는 체언 뒤에 붙어 그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갖도록 해 준다. 뜻을 더해 주는 보조사와 달리 다른 격조사와 결합할 수 없고 하나의 체언에 하나의 격조사만 쓰이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소유의 의미를 나타내는 관형격 조사 '-의'는 '학교에서의 행동'처럼 다른 격조사와 어울릴 수 있다.

따라서 '나' 뒤엔 두 개의 격조사가 나란히 올 수 없다. 의미상으로도 뜻이 통하지 않는다. 위 예문은 어떤 행동이 미치는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더러'만을 써서 '나더러'로 바꿔줘야 바른 문장이 된다. '너'나 '저' 뒤에 올 때도 너더러ㆍ저더러로 써야 한다. "날 보러 왔니?" "널 정말 좋아해" "절 부르셨어요?" 등은 각각 '나를, 너를, 저를'이 준 말로 '나더러'와는 쓰임새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