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8

재원(才媛), 향년

조회 수 1002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원(才媛), 향년

한자 학습 열기가 뜨겁다. 수능 및 입사 시험에 한자가 포함되고 중국의 급부상으로 한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다. 한자어가 많은 우리말을 이해하는데도 한자가 주는 긍정적 기능은 존재한다. 한글 전용 세대에게 한자는 취업의 발목만 잡는 게 아니라 글을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김군은 하버드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재원이다" "조혜연 4단은 우리 여류 바둑계를 이끌 재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등에서 '재원'은 바로 쓰인 것일까?

재원(才媛)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남자인 김군에게는 '재원'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끔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재원의 한자를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을 '미인 원(媛)'이 아니라 '인원 원(員)' 등으로 추정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엔 잘 쓰지 않지만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재자(才子)'가 있다.

부음 기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향년'이란 단어도 간혹 잘못 쓰는 경우를 본다. "한글 사랑에 힘써온 국어학자 한갑수씨가 향년 91세로 타계했다" "첼리스트 카살스는 향년 80세의 나이로 20세의 제자 몬테스와 결혼해 화제가 됐다" 등에서 향년은 바르게 쓰였을까? 향년(享年)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은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따라서 앞의 예문은 문제가 없으나 뒤의 예문은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이로 만드는 셈이어서 향년을 빼야 바른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2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666
277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9
2775 바람의종 2012.07.27 9289
27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7
2773 깃들다와 깃들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808
2772 까닭과 때문 바람의종 2008.01.31 7170
2771 까마귀 바람의종 2009.02.19 7599
2770 까망 고무신 바람의종 2010.03.14 11423
2769 까발리다, 까발기다 바람의종 2009.10.01 10971
276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512
2767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10
27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2
2765 까치설날 바람의종 2010.09.05 8747
2764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35
2763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839
2762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02
2761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80
2760 깍둑이, 부스럭이 바람의종 2008.10.27 13376
2759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309
275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928
2757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60
2756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500
2755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