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8

재원(才媛), 향년

조회 수 1002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원(才媛), 향년

한자 학습 열기가 뜨겁다. 수능 및 입사 시험에 한자가 포함되고 중국의 급부상으로 한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다. 한자어가 많은 우리말을 이해하는데도 한자가 주는 긍정적 기능은 존재한다. 한글 전용 세대에게 한자는 취업의 발목만 잡는 게 아니라 글을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김군은 하버드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재원이다" "조혜연 4단은 우리 여류 바둑계를 이끌 재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등에서 '재원'은 바로 쓰인 것일까?

재원(才媛)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남자인 김군에게는 '재원'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끔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재원의 한자를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을 '미인 원(媛)'이 아니라 '인원 원(員)' 등으로 추정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엔 잘 쓰지 않지만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재자(才子)'가 있다.

부음 기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향년'이란 단어도 간혹 잘못 쓰는 경우를 본다. "한글 사랑에 힘써온 국어학자 한갑수씨가 향년 91세로 타계했다" "첼리스트 카살스는 향년 80세의 나이로 20세의 제자 몬테스와 결혼해 화제가 됐다" 등에서 향년은 바르게 쓰였을까? 향년(享年)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은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따라서 앞의 예문은 문제가 없으나 뒤의 예문은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이로 만드는 셈이어서 향년을 빼야 바른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7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537
2776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411
2775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414
2774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418
2773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420
2772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422
2771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24
2770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427
2769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430
2768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431
2767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432
2766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32
27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433
2764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433
2763 눈시울 風磬 2006.11.01 6434
2762 니자테 너인테 바람의종 2009.02.20 6442
2761 당기다, 댕기다, 땅기다 바람의종 2008.11.02 6443
2760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44
2759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46
2758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8.04.04 6448
2757 왕따, 가마리 바람의종 2008.11.21 6450
2756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53
2755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