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8

재원(才媛), 향년

조회 수 1003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원(才媛), 향년

한자 학습 열기가 뜨겁다. 수능 및 입사 시험에 한자가 포함되고 중국의 급부상으로 한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다. 한자어가 많은 우리말을 이해하는데도 한자가 주는 긍정적 기능은 존재한다. 한글 전용 세대에게 한자는 취업의 발목만 잡는 게 아니라 글을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김군은 하버드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재원이다" "조혜연 4단은 우리 여류 바둑계를 이끌 재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등에서 '재원'은 바로 쓰인 것일까?

재원(才媛)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남자인 김군에게는 '재원'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끔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재원의 한자를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을 '미인 원(媛)'이 아니라 '인원 원(員)' 등으로 추정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엔 잘 쓰지 않지만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재자(才子)'가 있다.

부음 기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향년'이란 단어도 간혹 잘못 쓰는 경우를 본다. "한글 사랑에 힘써온 국어학자 한갑수씨가 향년 91세로 타계했다" "첼리스트 카살스는 향년 80세의 나이로 20세의 제자 몬테스와 결혼해 화제가 됐다" 등에서 향년은 바르게 쓰였을까? 향년(享年)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은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따라서 앞의 예문은 문제가 없으나 뒤의 예문은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이로 만드는 셈이어서 향년을 빼야 바른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50
1148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60
1147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68
1146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168
1145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1144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71
1143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1142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187
1141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88
1140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91
1139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192
1138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93
1137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99
1136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200
1135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205
1134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211
1133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11
1132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1131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213
1130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3
1129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217
1128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27
1127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2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