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8

재원(才媛), 향년

조회 수 1000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원(才媛), 향년

한자 학습 열기가 뜨겁다. 수능 및 입사 시험에 한자가 포함되고 중국의 급부상으로 한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다. 한자어가 많은 우리말을 이해하는데도 한자가 주는 긍정적 기능은 존재한다. 한글 전용 세대에게 한자는 취업의 발목만 잡는 게 아니라 글을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김군은 하버드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재원이다" "조혜연 4단은 우리 여류 바둑계를 이끌 재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등에서 '재원'은 바로 쓰인 것일까?

재원(才媛)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남자인 김군에게는 '재원'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끔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재원의 한자를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을 '미인 원(媛)'이 아니라 '인원 원(員)' 등으로 추정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엔 잘 쓰지 않지만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재자(才子)'가 있다.

부음 기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향년'이란 단어도 간혹 잘못 쓰는 경우를 본다. "한글 사랑에 힘써온 국어학자 한갑수씨가 향년 91세로 타계했다" "첼리스트 카살스는 향년 80세의 나이로 20세의 제자 몬테스와 결혼해 화제가 됐다" 등에서 향년은 바르게 쓰였을까? 향년(享年)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은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따라서 앞의 예문은 문제가 없으나 뒤의 예문은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이로 만드는 셈이어서 향년을 빼야 바른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6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580
2314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2313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801
2312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88
231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513
2310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2
2309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242
2308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100
2307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97
2306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421
2305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54
2304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82
2303 의존명사 ‘만’ 바람의종 2010.04.30 11130
230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412
2301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79
2300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41
2299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96
2298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2297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64
2296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731
2295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980
2294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바람의종 2010.04.26 21061
2293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