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30 13:48

재원(才媛), 향년

조회 수 997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원(才媛), 향년

한자 학습 열기가 뜨겁다. 수능 및 입사 시험에 한자가 포함되고 중국의 급부상으로 한자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다. 한자어가 많은 우리말을 이해하는데도 한자가 주는 긍정적 기능은 존재한다. 한글 전용 세대에게 한자는 취업의 발목만 잡는 게 아니라 글을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김군은 하버드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재원이다" "조혜연 4단은 우리 여류 바둑계를 이끌 재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등에서 '재원'은 바로 쓰인 것일까?

재원(才媛)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따라서 남자인 김군에게는 '재원'이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끔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재원의 한자를 잘못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을 '미인 원(媛)'이 아니라 '인원 원(員)' 등으로 추정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요즘엔 잘 쓰지 않지만 재주가 뛰어난 젊은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는 '재자(才子)'가 있다.

부음 기사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향년'이란 단어도 간혹 잘못 쓰는 경우를 본다. "한글 사랑에 힘써온 국어학자 한갑수씨가 향년 91세로 타계했다" "첼리스트 카살스는 향년 80세의 나이로 20세의 제자 몬테스와 결혼해 화제가 됐다" 등에서 향년은 바르게 쓰였을까? 향년(享年)은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로 죽은 사람에게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따라서 앞의 예문은 문제가 없으나 뒤의 예문은 살아 있는 사람을 죽은 이로 만드는 셈이어서 향년을 빼야 바른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67
2314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132
2313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130
2312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27
2311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26
2310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21
2309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19
2308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19
2307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18
2306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18
2305 크리스마스나무 바람의종 2008.06.02 10114
2304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12
230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107
2302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7
2301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01
2300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098
2299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093
2298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092
2297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090
2296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089
2295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088
2294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86
2293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0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