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247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쓰는 말들이 너무 거칠다. 지나가다 들어보면 아이들의 입에서도 욕설이 예사로 나온다.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다. 여당 야당 가릴 것 없이 막말이 오간다. 막말의 대상에도 제한이 없다. 이번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불필요하게 상대를 비난하지 않고 국정의 미비점을 제대로 지적한 몇몇 의원이 주목을 받았다. 사실은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그런 정치인이 돋보일 만큼 우리 정치가 제 궤도에서 벗어나 있다는 방증일 것이다. 예를 갖춰 대하면 상대방도 함부로 하지 못하는 법이다. 웃는 얼굴로 문제점은 철저하게 따져나가는 이성적인 정치를 보고 싶다.

웃는 얼굴 얘기가 나왔으니 흔히 헷갈리는 '미소를 띠다'와 '미소를 띄우다' 중 어느 것이 옳은지 알아보자. '띠다'는 '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어떤 성질을 가지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홍조를 띤 얼굴' '토론은 열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 신문은 진보적 색채를 띠고 있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 '띄우다'는 주로 '뜨다'의 사동사로 쓰인다. 즉 '뜨게 하다'라는 뜻이다. '수정과에 잣을 띄우다' '강물에 배를 띄우다' '메주를 띄우다' '간격을 띄워서 앉아라' '두 칸을 띄운 다음 이름을 써라'처럼 쓴다. 미소의 경우는 얼굴에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뜨게 하다'란 의미를 지닌 '띄우다'를 쓰지 않고 '띠다'를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96
2028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75
2027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76
2026 문화어에 오른 방언 바람의종 2010.02.06 8400
202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43
2024 물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2.03 8052
2023 물다, 쏘다 바람의종 2009.10.07 8474
2022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582
2021 물사마귀 바람의종 2010.07.17 11257
2020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73
2019 물을 길러, 라면이 불기 전에 바람의종 2008.10.01 12954
2018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67
201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131
2016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762
201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774
2014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49
2013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357
2012 미닫이, 여닫이, 빼닫이 바람의종 2009.10.06 13307
2011 미라 바람의종 2009.10.07 6020
2010 미래를 나타내는 관형형 바람의종 2010.03.06 9394
200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609
200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12
2007 미망인 바람의종 2008.11.01 59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