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19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요즘 우리 사회에서 쓰는 말들이 너무 거칠다. 지나가다 들어보면 아이들의 입에서도 욕설이 예사로 나온다.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다. 여당 야당 가릴 것 없이 막말이 오간다. 막말의 대상에도 제한이 없다. 이번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불필요하게 상대를 비난하지 않고 국정의 미비점을 제대로 지적한 몇몇 의원이 주목을 받았다. 사실은 그렇게 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그런 정치인이 돋보일 만큼 우리 정치가 제 궤도에서 벗어나 있다는 방증일 것이다. 예를 갖춰 대하면 상대방도 함부로 하지 못하는 법이다. 웃는 얼굴로 문제점은 철저하게 따져나가는 이성적인 정치를 보고 싶다.

웃는 얼굴 얘기가 나왔으니 흔히 헷갈리는 '미소를 띠다'와 '미소를 띄우다' 중 어느 것이 옳은지 알아보자. '띠다'는 '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어떤 성질을 가지다'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홍조를 띤 얼굴' '토론은 열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 신문은 진보적 색채를 띠고 있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 '띄우다'는 주로 '뜨다'의 사동사로 쓰인다. 즉 '뜨게 하다'라는 뜻이다. '수정과에 잣을 띄우다' '강물에 배를 띄우다' '메주를 띄우다' '간격을 띄워서 앉아라' '두 칸을 띄운 다음 이름을 써라'처럼 쓴다. 미소의 경우는 얼굴에 감정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뜨게 하다'란 의미를 지닌 '띄우다'를 쓰지 않고 '띠다'를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0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5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464
2314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856
2313 억수 風磬 2007.01.19 8836
2312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16
231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93
2310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63
2309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112
2308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64
2307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84
2306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83
2305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932
2304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97
2303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5
2302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24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67
2300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2299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411
2298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00
2297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17
229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8
229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53
2294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20
229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