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7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회사 주변 식당 중에는 식사 후 더러 구수한 숭늉과 함께 눌은밥을 내오는 곳이 있다. 비록 예전의 가마솥에서 생기는 누룽지로 만든 눌은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수하고 부드러운 그 맛이 그리워 많은 이가 즐겨 찾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눌은밥을 누룽지와 혼동해 '아주머니, 누룽지 주세요. 따끈한 숭늉 좀 마시게'라고 말한다. 또한 누룽지를 눌은밥이라고 말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러나 눌은밥과 누룽지는 분명 의미가 다른 말이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뜻하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이렇듯 뜻이 다른데 사람들은 누룽지를 눌은밥과 같은 말이거나 사투리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 같다. 간혹 그 구분을 제대로 하는 사람 중에도 눌은밥을 '누른밥'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눌은밥의 발음이 [누른밥]으로 나기 때문인 듯하다. '누룽지가 밥솥 바닥에 눌러붙어 떨어지지 않는다'처럼 '눌어붙다'를 '눌러붙다'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잘못이다. 두 단어의 원형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눌은밥'과 '눌어붙다'는 동사 '눋다'에서 생겨난 말이다. '눋다'는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라는 뜻으로, '밥이 눌어 누룽지가 되었다'처럼 'ㄷ'불규칙 활용을 해 '눌은, 눌어, 눌으니, 눌으면' 등으로 쓰인다. 요즘처럼 전기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되거나 설지언정 타지는 않는다. 그러나 누룽지가 생기지 않아 물을 붓고 푹 끓인 구수한 눌은밥을 만들어 먹을 수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46
1148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46
1147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583
1146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80
1145 어르다, 으르다 바람의종 2010.09.01 10600
1144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49
1143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21
114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58
1141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8
1140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17
1139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16
1138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428
1137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113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72
1135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34
1134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5
1133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801
1132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964
1131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1017
1130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84
1129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71
1128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112
1127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