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6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회사 주변 식당 중에는 식사 후 더러 구수한 숭늉과 함께 눌은밥을 내오는 곳이 있다. 비록 예전의 가마솥에서 생기는 누룽지로 만든 눌은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수하고 부드러운 그 맛이 그리워 많은 이가 즐겨 찾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눌은밥을 누룽지와 혼동해 '아주머니, 누룽지 주세요. 따끈한 숭늉 좀 마시게'라고 말한다. 또한 누룽지를 눌은밥이라고 말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러나 눌은밥과 누룽지는 분명 의미가 다른 말이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뜻하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이렇듯 뜻이 다른데 사람들은 누룽지를 눌은밥과 같은 말이거나 사투리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 같다. 간혹 그 구분을 제대로 하는 사람 중에도 눌은밥을 '누른밥'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눌은밥의 발음이 [누른밥]으로 나기 때문인 듯하다. '누룽지가 밥솥 바닥에 눌러붙어 떨어지지 않는다'처럼 '눌어붙다'를 '눌러붙다'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잘못이다. 두 단어의 원형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눌은밥'과 '눌어붙다'는 동사 '눋다'에서 생겨난 말이다. '눋다'는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라는 뜻으로, '밥이 눌어 누룽지가 되었다'처럼 'ㄷ'불규칙 활용을 해 '눌은, 눌어, 눌으니, 눌으면' 등으로 쓰인다. 요즘처럼 전기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되거나 설지언정 타지는 않는다. 그러나 누룽지가 생기지 않아 물을 붓고 푹 끓인 구수한 눌은밥을 만들어 먹을 수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8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97
1148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93
1147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82
1146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24
1145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28
1144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673
1143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33
1142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651
1141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32
1140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50
1139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505
1138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63
1137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113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72
1135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1
1134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96
1133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53
1132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42
1131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49
1130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789
1129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9012
112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25
1127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