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4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회사 주변 식당 중에는 식사 후 더러 구수한 숭늉과 함께 눌은밥을 내오는 곳이 있다. 비록 예전의 가마솥에서 생기는 누룽지로 만든 눌은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수하고 부드러운 그 맛이 그리워 많은 이가 즐겨 찾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눌은밥을 누룽지와 혼동해 '아주머니, 누룽지 주세요. 따끈한 숭늉 좀 마시게'라고 말한다. 또한 누룽지를 눌은밥이라고 말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러나 눌은밥과 누룽지는 분명 의미가 다른 말이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뜻하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이렇듯 뜻이 다른데 사람들은 누룽지를 눌은밥과 같은 말이거나 사투리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 같다. 간혹 그 구분을 제대로 하는 사람 중에도 눌은밥을 '누른밥'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눌은밥의 발음이 [누른밥]으로 나기 때문인 듯하다. '누룽지가 밥솥 바닥에 눌러붙어 떨어지지 않는다'처럼 '눌어붙다'를 '눌러붙다'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잘못이다. 두 단어의 원형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눌은밥'과 '눌어붙다'는 동사 '눋다'에서 생겨난 말이다. '눋다'는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라는 뜻으로, '밥이 눌어 누룽지가 되었다'처럼 'ㄷ'불규칙 활용을 해 '눌은, 눌어, 눌으니, 눌으면' 등으로 쓰인다. 요즘처럼 전기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되거나 설지언정 타지는 않는다. 그러나 누룽지가 생기지 않아 물을 붓고 푹 끓인 구수한 눌은밥을 만들어 먹을 수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41
2314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48
2313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93
2312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78
231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61
2310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2
2309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183
2308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88
2307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84
2306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413
2305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48
2304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65
2303 의존명사 ‘만’ 바람의종 2010.04.30 11129
230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2301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241
2300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39
2299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95
2298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3
2297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644
2296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697
2295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950
2294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바람의종 2010.04.26 21049
2293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