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16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회사 주변 식당 중에는 식사 후 더러 구수한 숭늉과 함께 눌은밥을 내오는 곳이 있다. 비록 예전의 가마솥에서 생기는 누룽지로 만든 눌은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구수하고 부드러운 그 맛이 그리워 많은 이가 즐겨 찾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눌은밥을 누룽지와 혼동해 '아주머니, 누룽지 주세요. 따끈한 숭늉 좀 마시게'라고 말한다. 또한 누룽지를 눌은밥이라고 말하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러나 눌은밥과 누룽지는 분명 의미가 다른 말이다. 누룽지는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을 뜻하고, 눌은밥은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이렇듯 뜻이 다른데 사람들은 누룽지를 눌은밥과 같은 말이거나 사투리로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것 같다. 간혹 그 구분을 제대로 하는 사람 중에도 눌은밥을 '누른밥'으로 쓰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는 눌은밥의 발음이 [누른밥]으로 나기 때문인 듯하다. '누룽지가 밥솥 바닥에 눌러붙어 떨어지지 않는다'처럼 '눌어붙다'를 '눌러붙다'로 쓰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잘못이다. 두 단어의 원형을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 수 있다. '눌은밥'과 '눌어붙다'는 동사 '눋다'에서 생겨난 말이다. '눋다'는 '누런빛이 나도록 조금 타다'라는 뜻으로, '밥이 눌어 누룽지가 되었다'처럼 'ㄷ'불규칙 활용을 해 '눌은, 눌어, 눌으니, 눌으면' 등으로 쓰인다. 요즘처럼 전기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되거나 설지언정 타지는 않는다. 그러나 누룽지가 생기지 않아 물을 붓고 푹 끓인 구수한 눌은밥을 만들어 먹을 수가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42
2314 넋두리 바람의종 2010.05.12 10227
2313 설겆이, 설거지 / 애닯다, 애달프다 바람의종 2009.07.26 10223
2312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222
2311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221
2310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213
2309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3
2308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212
2307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212
2306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211
2305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10
2304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200
2303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9
2302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95
2301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88
2300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186
2299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2298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81
2297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70
2296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2295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160
2294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60
2293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1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