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8 16:38

껍질, 껍데기

조회 수 1066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껍질, 껍데기

'조개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불가에 마주 앉아 밤새 속삭이네. ~' '조개껍질 묶어'라는 노래의 가사다. 과거 즐겨 듣던 곡이고, 야유회 등에서 자주 불렀다. 좋은 곡임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는 '껍질'과 '껍데기'의 구분에 많은 혼란을 초래했다.

'껍질'은 양파·귤·사과 등의 겉을 싸고 있는 부드러운 층(켜)을, '껍데기'는 달걀·조개 등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을 뜻하므로 조개의 경우 '껍데기'가 맞다. 이 노래 때문에 '조개껍데기'보다 '조개껍질'이라 부르는 것이 편하고, 전체적으로 '껍질'과 '껍데기'의 차이가 잘 와 닿지 않는다. 달걀껍질·귤껍데기 등처럼 대충 편한 대로 쓰고 있다. 여행을 하다 조껍데기술에 돼지껍데기 안주로 한잔하는 경우가 있다. 맛은 좋지만 모두 맞지 않은 말이다.

조(좁쌀)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옛날 식량으로 큰 몫을 했다. 특히 제주도에서 좁쌀 가루로 만든 떡을 '오메기떡'이라 하는데, '오메기'는 좀 오므라들게 만들었다는 데서 온 말이라고 한다. 조 껍질로 만든 술도 덩달아 '오메기술'이라 부르게 됐다. 언제부터인가 조를 갈아 만든 술을 '조껍데기술'이라 부른다. 옛날에는 조 껍질로 만들었으므로 '조껍질술'이 성립하지만 요즘은 알갱이로 만들기 때문에 이마저 어울리지 않는다. '좁쌀술'이 적당한 표현이다.

'돼지껍데기'도 '돼지껍질'이라 불러야 한다. 껍질이나 껍데기나 그게 그거 아니냐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말의 풍부한 어휘를 원래 뜻에 맞게 살려 쓰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60
2314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815
2313 억수 風磬 2007.01.19 8819
2312 어학 바람의종 2010.08.25 7612
2311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37
2310 어줍잖다, 어쭙잖다 / 어줍다 바람의종 2009.07.10 12444
2309 어이없다 風文 2024.05.29 112
2308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953
2307 어수룩하다와 어리숙하다 바람의종 2010.01.10 9967
2306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52
2305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894
2304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93
2303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5
2302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23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65
2300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6
2299 어미 ‘-ㄹ지’,의존명사 ‘지’ 바람의종 2010.01.27 13396
2298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91
2297 어명이요!, 어명이오! 바람의종 2012.09.06 10714
229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229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33
2294 어리숙하다, 어수룩하다 바람의종 2010.10.16 12215
229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