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8 16:38

껍질, 껍데기

조회 수 1065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껍질, 껍데기

'조개껍질 묶어 그녀의 목에 걸고/불가에 마주 앉아 밤새 속삭이네. ~' '조개껍질 묶어'라는 노래의 가사다. 과거 즐겨 듣던 곡이고, 야유회 등에서 자주 불렀다. 좋은 곡임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는 '껍질'과 '껍데기'의 구분에 많은 혼란을 초래했다.

'껍질'은 양파·귤·사과 등의 겉을 싸고 있는 부드러운 층(켜)을, '껍데기'는 달걀·조개 등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을 뜻하므로 조개의 경우 '껍데기'가 맞다. 이 노래 때문에 '조개껍데기'보다 '조개껍질'이라 부르는 것이 편하고, 전체적으로 '껍질'과 '껍데기'의 차이가 잘 와 닿지 않는다. 달걀껍질·귤껍데기 등처럼 대충 편한 대로 쓰고 있다. 여행을 하다 조껍데기술에 돼지껍데기 안주로 한잔하는 경우가 있다. 맛은 좋지만 모두 맞지 않은 말이다.

조(좁쌀)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옛날 식량으로 큰 몫을 했다. 특히 제주도에서 좁쌀 가루로 만든 떡을 '오메기떡'이라 하는데, '오메기'는 좀 오므라들게 만들었다는 데서 온 말이라고 한다. 조 껍질로 만든 술도 덩달아 '오메기술'이라 부르게 됐다. 언제부터인가 조를 갈아 만든 술을 '조껍데기술'이라 부른다. 옛날에는 조 껍질로 만들었으므로 '조껍질술'이 성립하지만 요즘은 알갱이로 만들기 때문에 이마저 어울리지 않는다. '좁쌀술'이 적당한 표현이다.

'돼지껍데기'도 '돼지껍질'이라 불러야 한다. 껍질이나 껍데기나 그게 그거 아니냐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말의 풍부한 어휘를 원래 뜻에 맞게 살려 쓰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2
231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54
2313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64
2312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42
2311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12
2310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26
2309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87
2308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6
2307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07
2306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627
2305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23
2304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13
2303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59
2302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36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36
2300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29
2299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0
2298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52
2297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7
2296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24
229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410
2294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05
2293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5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