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99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신흥 시장으로 떠오른 아르헨티나ㆍ브라질ㆍ칠레 등 남미 3개국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를 좇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국가수반이 정상외교를 펼칠 때 많이 접하는 기사 중 하나가 외교 의전 행사로 치러지는 '의장대 사열'과 관련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뒤 대통령궁으로 올라가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악수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노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외무장관과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고 있다" "노 대통령은 압둘라 말레이시아 총리를 영접한 뒤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다" 등처럼 쓰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여기서 '사열(査閱)'이란 지휘관 등이 장병을 정렬시킨 뒤 훈련 및 장비 유지 상태 등을 살피는 것이다. 따라서 사열의 주체는 노 대통령이 돼야 한다. 예문대로라면 주객이 뒤바뀌어 의장대가 노 대통령을 살피는 것이므로 '의장대를 사열한 뒤'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의장대를 사열했다'로 고쳐야 바른 문장이 된다. 주체가 부대원이라면 '사열을 받았다'라고 쓸 수 있다.

이처럼 '하다'를 쓸 자리에 '받다'가 와 잘못 표현하기 쉬운 예로 '사사를 받다' '자문을 받다(구하다)' 등을 들 수 있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 자문(諮問)은 '그 방면의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묻다'라는 뜻이므로 '(~에게 ~을) 사사하다' '(~에/에게 ~을) 자문하다'로 표현해야 한다.

"김 선생에게 그림을 사사한 뒤 실력이 향상됐다" "그는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전문가에게 회사 문제를 자문했다(조언을 구했다)" 등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306
187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68
187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71
1872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37
1871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42
1870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0
1869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5
1868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46
1867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64
1866 악발이 바람의종 2009.05.25 6011
1865 렉카 바람의종 2009.05.25 7085
1864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27
1863 두루치기 바람의종 2009.05.25 11349
1862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34
1861 고객님? 바람의종 2009.05.26 5878
1860 여우비 바람의종 2009.05.26 6786
»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1999
1858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28
1857 왕구울개 바람의종 2009.05.28 7192
1856 껍질, 껍데기 바람의종 2009.05.28 10645
1855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바람의종 2009.05.28 14039
1854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02
1853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