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00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신흥 시장으로 떠오른 아르헨티나ㆍ브라질ㆍ칠레 등 남미 3개국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를 좇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국가수반이 정상외교를 펼칠 때 많이 접하는 기사 중 하나가 외교 의전 행사로 치러지는 '의장대 사열'과 관련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뒤 대통령궁으로 올라가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악수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노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외무장관과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고 있다" "노 대통령은 압둘라 말레이시아 총리를 영접한 뒤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다" 등처럼 쓰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여기서 '사열(査閱)'이란 지휘관 등이 장병을 정렬시킨 뒤 훈련 및 장비 유지 상태 등을 살피는 것이다. 따라서 사열의 주체는 노 대통령이 돼야 한다. 예문대로라면 주객이 뒤바뀌어 의장대가 노 대통령을 살피는 것이므로 '의장대를 사열한 뒤'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의장대를 사열했다'로 고쳐야 바른 문장이 된다. 주체가 부대원이라면 '사열을 받았다'라고 쓸 수 있다.

이처럼 '하다'를 쓸 자리에 '받다'가 와 잘못 표현하기 쉬운 예로 '사사를 받다' '자문을 받다(구하다)' 등을 들 수 있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 자문(諮問)은 '그 방면의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묻다'라는 뜻이므로 '(~에게 ~을) 사사하다' '(~에/에게 ~을) 자문하다'로 표현해야 한다.

"김 선생에게 그림을 사사한 뒤 실력이 향상됐다" "그는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전문가에게 회사 문제를 자문했다(조언을 구했다)" 등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57
2314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22
2313 어미 ‘ㄹ게’ 바람의종 2010.05.06 8773
2312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60
231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379
2310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06
2309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055
2308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00
2307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47
2306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391
2305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03
2304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6
2303 의존명사 ‘만’ 바람의종 2010.04.30 11104
2302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64
2301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36
2300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07
2299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73
2298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2297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30
2296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569
2295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871
2294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바람의종 2010.04.26 20984
2293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1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