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0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신흥 시장으로 떠오른 아르헨티나ㆍ브라질ㆍ칠레 등 남미 3개국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를 좇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국가수반이 정상외교를 펼칠 때 많이 접하는 기사 중 하나가 외교 의전 행사로 치러지는 '의장대 사열'과 관련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뒤 대통령궁으로 올라가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악수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노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외무장관과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고 있다" "노 대통령은 압둘라 말레이시아 총리를 영접한 뒤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다" 등처럼 쓰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여기서 '사열(査閱)'이란 지휘관 등이 장병을 정렬시킨 뒤 훈련 및 장비 유지 상태 등을 살피는 것이다. 따라서 사열의 주체는 노 대통령이 돼야 한다. 예문대로라면 주객이 뒤바뀌어 의장대가 노 대통령을 살피는 것이므로 '의장대를 사열한 뒤'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의장대를 사열했다'로 고쳐야 바른 문장이 된다. 주체가 부대원이라면 '사열을 받았다'라고 쓸 수 있다.

이처럼 '하다'를 쓸 자리에 '받다'가 와 잘못 표현하기 쉬운 예로 '사사를 받다' '자문을 받다(구하다)' 등을 들 수 있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 자문(諮問)은 '그 방면의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묻다'라는 뜻이므로 '(~에게 ~을) 사사하다' '(~에/에게 ~을) 자문하다'로 표현해야 한다.

"김 선생에게 그림을 사사한 뒤 실력이 향상됐다" "그는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전문가에게 회사 문제를 자문했다(조언을 구했다)" 등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092
231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178
2313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84
2312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65
2311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50
2310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48
2309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21
2308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99
2307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94
2306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16
2305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2304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24
2303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80
2302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1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65
2300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48
2299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50
2298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74
2297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40
2296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32
229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594
2294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31
2293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