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00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신흥 시장으로 떠오른 아르헨티나ㆍ브라질ㆍ칠레 등 남미 3개국을 순방 중인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를 좇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국가수반이 정상외교를 펼칠 때 많이 접하는 기사 중 하나가 외교 의전 행사로 치러지는 '의장대 사열'과 관련된 것이다.

"노 대통령은 의장대의 사열을 받은 뒤 대통령궁으로 올라가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악수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노 대통령이 아르헨티나 외무장관과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고 있다" "노 대통령은 압둘라 말레이시아 총리를 영접한 뒤 함께 의장대의 사열을 받았다" 등처럼 쓰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여기서 '사열(査閱)'이란 지휘관 등이 장병을 정렬시킨 뒤 훈련 및 장비 유지 상태 등을 살피는 것이다. 따라서 사열의 주체는 노 대통령이 돼야 한다. 예문대로라면 주객이 뒤바뀌어 의장대가 노 대통령을 살피는 것이므로 '의장대를 사열한 뒤'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 '의장대를 사열했다'로 고쳐야 바른 문장이 된다. 주체가 부대원이라면 '사열을 받았다'라고 쓸 수 있다.

이처럼 '하다'를 쓸 자리에 '받다'가 와 잘못 표현하기 쉬운 예로 '사사를 받다' '자문을 받다(구하다)' 등을 들 수 있다. '사사(師事)'는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다', 자문(諮問)은 '그 방면의 전문가 등에게 의견을 묻다'라는 뜻이므로 '(~에게 ~을) 사사하다' '(~에/에게 ~을) 자문하다'로 표현해야 한다.

"김 선생에게 그림을 사사한 뒤 실력이 향상됐다" "그는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전문가에게 회사 문제를 자문했다(조언을 구했다)" 등처럼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68
2886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093
2885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89
2884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69
2883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63
2882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62
2881 클래식 바람의종 2010.03.17 12055
2880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052
2879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51
2878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48
2877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40
2876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5
2875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10
»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06
2873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005
2872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04
2871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03
2870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1997
2869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95
2868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1
2867 빼았기다 / 빼앗기다 바람의종 2011.11.15 11981
2866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1966
2865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