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20

내지

조회 수 1058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지

'500명 내지 600명이 집회에 참가했다' '자기만이 최고라는 선민의식 내지 독선을 버려야 한다' '헌법적 가치가 침해 내지 폄하되고 있다' '남북의 평화공존 내지 협력이 필요하다' '법률 제12조 내지 제19조에 따른 것이다'에서와 같이 '~ 내지'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내지(乃至)'는 한자 '이에 내(乃)'와 '이를 지(至)'의 합성어로, 원래 수량을 나타내는 말들 사이에 쓰여 '얼마에서 얼마까지'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다. '500명 내지 600명'은 '500명에서 600명까지'를 뜻한다. '500~600명'이라 적은 것도 '~'을 보통 '내지'로 발음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내지'가 '~나' '~ 또는' '~과'의 뜻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앞에서 '선민의식 내지 독선'은 '선민의식이나 독선', '침해 내지 폄하'는 '침해 또는 폄하', '평화공존 내지 협력'은 '평화공존과 협력'이 자연스럽다. 이런 경우 잘 어울리는 순 우리말 단어가 있음에도 무심코 한자어 '내지'를 사용한 것이다. '법률 제12조 내지 제19조'에 이르면 '내지'의 문제점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12조에서 19조까지'를 뜻하는지, '12조 또는 19조'를 뜻하는지, '12조와 19조'를 뜻하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법률에서 이처럼 모호한 뜻의 '내지'를 많이 쓰고 있다.

잘 어울리는 순 우리말 단어를 밀어내고 한자어 '내지'를 남용할 필요는 없다. 원래대로 '~에서 ~까지'로 한정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의미를 불명확하게 만드는 경우엔 확실한 낱말로 바꾸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3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0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918
2314 악착같다 바람의종 2007.05.17 10211
2313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04
2312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201
2311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8
2310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192
2309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192
2308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88
2307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87
2306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2305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78
2304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75
2303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75
2302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174
2301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173
2300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2299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52
2298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1
2297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48
2296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145
2295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42
2294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42
2293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