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20

내지

조회 수 1059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내지

'500명 내지 600명이 집회에 참가했다' '자기만이 최고라는 선민의식 내지 독선을 버려야 한다' '헌법적 가치가 침해 내지 폄하되고 있다' '남북의 평화공존 내지 협력이 필요하다' '법률 제12조 내지 제19조에 따른 것이다'에서와 같이 '~ 내지'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내지(乃至)'는 한자 '이에 내(乃)'와 '이를 지(至)'의 합성어로, 원래 수량을 나타내는 말들 사이에 쓰여 '얼마에서 얼마까지'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다. '500명 내지 600명'은 '500명에서 600명까지'를 뜻한다. '500~600명'이라 적은 것도 '~'을 보통 '내지'로 발음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내지'가 '~나' '~ 또는' '~과'의 뜻으로 두루 쓰이고 있다.

앞에서 '선민의식 내지 독선'은 '선민의식이나 독선', '침해 내지 폄하'는 '침해 또는 폄하', '평화공존 내지 협력'은 '평화공존과 협력'이 자연스럽다. 이런 경우 잘 어울리는 순 우리말 단어가 있음에도 무심코 한자어 '내지'를 사용한 것이다. '법률 제12조 내지 제19조'에 이르면 '내지'의 문제점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12조에서 19조까지'를 뜻하는지, '12조 또는 19조'를 뜻하는지, '12조와 19조'를 뜻하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법률에서 이처럼 모호한 뜻의 '내지'를 많이 쓰고 있다.

잘 어울리는 순 우리말 단어를 밀어내고 한자어 '내지'를 남용할 필요는 없다. 원래대로 '~에서 ~까지'로 한정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의미를 불명확하게 만드는 경우엔 확실한 낱말로 바꾸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28
231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193
2313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88
2312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67
2311 마을 가다 file 바람의종 2010.07.18 12159
2310 당기다와 댕기다 바람의종 2010.07.18 10553
2309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21
2308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9002
2307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711
2306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21
2305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139
2304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33
2303 깜빡이 바람의종 2010.07.20 9480
2302 나룻 바람의종 2010.07.20 9651
2301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65
2300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2299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53
2298 조개껍질 바람의종 2010.07.23 10482
2297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41
2296 와/과’와 ‘및’ 바람의종 2010.07.23 10532
229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602
2294 잿밥과 젯밥 바람의종 2010.07.25 11231
2293 ‘ㄹ’의 탈락 바람의종 2010.07.26 10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