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9

깨치다, 깨우치다

조회 수 996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깨치다, 깨우치다

"하늘을 보면 푸르기만 한데, 하늘 천(天)자는 푸르지 않으니 읽기 싫어요!" 조선 후기 실학자 연암 박지원이 창애 유한준에게 보낸 '답창애(答蒼厓)'의 일부다. 훈장이 천자문 읽기를 게을리하는 제자를 꾸짖자 그 제자는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이는 천지현황(天地玄黃,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을 두고 한 말이다. 제자의 눈엔 하늘이 검지 않고 푸른데, 이런 그릇된 이치는 배우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연암은 창애에게 글을 쓰는 데 있어 기교나 관습에 치우쳐선 안 된다는 것을 '깨우쳐' 주고 싶었던 모양이다.

'깨치다'를 써야 할 자리에 '깨우치다'를 쓰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 반대의 예도 많다. "우리가 스스로의 경험으로 인생의 참된 맛을 깨우치는 것보다 삶을 더 진지하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이 또 있을까" "한글을 깨우친 자녀에게는 만화를 읽히지 않는 게 독서 능력을 키우는 데 좋다는 조언을 들었다" 등에서 '깨우치다'는 바로 쓰인 것일까? '깨치다'는 '일의 이치 따위를 깨달아 알다', '깨우치다'는 '모르는 것을 깨달아 알게 하다'라는 뜻이다. 즉 '깨치다'는 스스로 모르던 것을 알게 됐을 때 쓰고, '깨우치다'는 깨닫도록 남을 가르쳐 주는 경우에 사용한다. 다른 사람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할 때는 '깨치다'의 어근에 사동 접사인 '-우-'를 붙인 '깨우치다'를 쓰면 된다.

위 문장에선 주체가 남이 아닌 나 자신이므로 '깨치는(깨닫는)' '깨친'으로 고쳐야 한다. "그는 네 살 때 수학의 원리를 깨쳤다" "그의 잘못을 깨우쳐 줬다" 등처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16
1588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19
1587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023
1586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23
1585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9027
1584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28
1583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36
1582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40
1581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43
1580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46
1579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6
1578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47
1577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48
1576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049
1575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50
1574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52
1573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56
1572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59
1571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1570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64
1569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64
1568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65
1567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