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4 09:19

깨치다, 깨우치다

조회 수 995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깨치다, 깨우치다

"하늘을 보면 푸르기만 한데, 하늘 천(天)자는 푸르지 않으니 읽기 싫어요!" 조선 후기 실학자 연암 박지원이 창애 유한준에게 보낸 '답창애(答蒼厓)'의 일부다. 훈장이 천자문 읽기를 게을리하는 제자를 꾸짖자 그 제자는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이는 천지현황(天地玄黃,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을 두고 한 말이다. 제자의 눈엔 하늘이 검지 않고 푸른데, 이런 그릇된 이치는 배우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연암은 창애에게 글을 쓰는 데 있어 기교나 관습에 치우쳐선 안 된다는 것을 '깨우쳐' 주고 싶었던 모양이다.

'깨치다'를 써야 할 자리에 '깨우치다'를 쓰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 반대의 예도 많다. "우리가 스스로의 경험으로 인생의 참된 맛을 깨우치는 것보다 삶을 더 진지하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이 또 있을까" "한글을 깨우친 자녀에게는 만화를 읽히지 않는 게 독서 능력을 키우는 데 좋다는 조언을 들었다" 등에서 '깨우치다'는 바로 쓰인 것일까? '깨치다'는 '일의 이치 따위를 깨달아 알다', '깨우치다'는 '모르는 것을 깨달아 알게 하다'라는 뜻이다. 즉 '깨치다'는 스스로 모르던 것을 알게 됐을 때 쓰고, '깨우치다'는 깨닫도록 남을 가르쳐 주는 경우에 사용한다. 다른 사람에게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할 때는 '깨치다'의 어근에 사동 접사인 '-우-'를 붙인 '깨우치다'를 쓰면 된다.

위 문장에선 주체가 남이 아닌 나 자신이므로 '깨치는(깨닫는)' '깨친'으로 고쳐야 한다. "그는 네 살 때 수학의 원리를 깨쳤다" "그의 잘못을 깨우쳐 줬다" 등처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71
1148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53
1147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15
1146 우연찮게 바람의종 2010.04.26 8317
114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81
1144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06
1143 내 자신, 제 자신, 저 자신, 너 자신, 네 자신 바람의종 2010.04.26 20984
1142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877
1141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574
1140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37
1139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14
1138 연출했다 바람의종 2010.04.27 8273
1137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07
1136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45
1135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64
1134 의존명사 ‘만’ 바람의종 2010.04.30 11104
1133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7919
1132 절이다, 저리다 바람의종 2010.04.30 14103
1131 오버로크 바람의종 2010.05.05 11391
1130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51
1129 자문을 구하다? 바람의종 2010.05.05 14008
1128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063
1127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