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1 06:54

쌉싸름하다

조회 수 11941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쌉싸름하다

'미꾸라지를 통채로 지진 미꾸라지전은 내장의 쌉싸름한 맛이 식욕을 돋군다.' 이 문장에는 틀린 곳이 세 군데 있다. 무엇일까? 바로 '통채로''쌉싸름한''돋군다'이다. '통채로'는 '통째로'로, '쌉싸름한'은 '쌉싸래한'으로, '돋군다'는 '돋운다'로 바로잡아야 한다. '쌉싸름하다'는 '쌉싸래하다'의 잘못이라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다. '쌉싸름하다'는 비표준어라는 얘기다.

이와 유사한 다른 단어로 '씁쓰름하다''짭짜름하다''떨떠름하다' 등이 있다. '씁쓰름하다'는 '씁쓰레하다'와, '짭짜름하다'는 '짭짜래하다'와 비슷한 말이다. 그런데 '씁쓰름하다'와 '짭짜름하다'는 표준어로 인정해준 반면 실생활에서 많이 쓰고 있는 '쌉싸름하다'만은 표준어로 인정해주지 않고 있다. 최근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쌉싸름'과 '쌉싸래'의 용례를 검색해 보니 '쌉싸래'보다 '쌉싸름'을 훨씬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쌉싸름하다'를 비표준어라고 낙인찍어 우리의 말과 글 밖으로 내팽개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라우라 에스키벨)이란 제목의 책까지 출간되기도 했다. 또 '달콤 쌉싸름하다'를 '달콤 쌉싸래하다'로 쓰면 운(韻)이 맞지 않아 말맛이 떨어진다. 북한에서도 '쌉싸름하다'는 문화어(우리의 표준어)에 속한다.

'쌉싸름하다'는 '씁쓰름하다''짭짜름하다''짭조름하다''떨떠름하다' 등과 비교해 봐도 우리말 어휘가 풍요로워지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표준어가 되기에 모자람이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26
2116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0
2115 고바위, 만땅, 후까시, 엥꼬, 빠꾸, 오라이, 기스 바람의종 2008.12.06 16450
211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08
2113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4
2112 맨 처음, 맨손 바람의종 2008.12.07 5706
2111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78
2110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21
2109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89
2108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689
2107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48
2106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73
2105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36
2104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4917
210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16
2102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29
2101 패이다 바람의종 2008.12.11 14744
2100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211
2099 지향, 지양 바람의종 2008.12.11 10856
2098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750
2097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9944
2096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66
2095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