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1 06:54

쌉싸름하다

조회 수 12002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쌉싸름하다

'미꾸라지를 통채로 지진 미꾸라지전은 내장의 쌉싸름한 맛이 식욕을 돋군다.' 이 문장에는 틀린 곳이 세 군데 있다. 무엇일까? 바로 '통채로''쌉싸름한''돋군다'이다. '통채로'는 '통째로'로, '쌉싸름한'은 '쌉싸래한'으로, '돋군다'는 '돋운다'로 바로잡아야 한다. '쌉싸름하다'는 '쌉싸래하다'의 잘못이라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다. '쌉싸름하다'는 비표준어라는 얘기다.

이와 유사한 다른 단어로 '씁쓰름하다''짭짜름하다''떨떠름하다' 등이 있다. '씁쓰름하다'는 '씁쓰레하다'와, '짭짜름하다'는 '짭짜래하다'와 비슷한 말이다. 그런데 '씁쓰름하다'와 '짭짜름하다'는 표준어로 인정해준 반면 실생활에서 많이 쓰고 있는 '쌉싸름하다'만은 표준어로 인정해주지 않고 있다. 최근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쌉싸름'과 '쌉싸래'의 용례를 검색해 보니 '쌉싸래'보다 '쌉싸름'을 훨씬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쌉싸름하다'를 비표준어라고 낙인찍어 우리의 말과 글 밖으로 내팽개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라우라 에스키벨)이란 제목의 책까지 출간되기도 했다. 또 '달콤 쌉싸름하다'를 '달콤 쌉싸래하다'로 쓰면 운(韻)이 맞지 않아 말맛이 떨어진다. 북한에서도 '쌉싸름하다'는 문화어(우리의 표준어)에 속한다.

'쌉싸름하다'는 '씁쓰름하다''짭짜름하다''짭조름하다''떨떠름하다' 등과 비교해 봐도 우리말 어휘가 풍요로워지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표준어가 되기에 모자람이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12
2886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75
2885 덮혔다, 찝찝하다 바람의종 2008.10.31 12169
2884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165
2883 외래어 / 외국어 바람의종 2012.02.28 12165
2882 께, 쯤, 가량, 무렵, 경 바람의종 2009.11.03 12161
2881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140
2880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137
2879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35
2878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34
2877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132
2876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28
2875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120
2874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105
2873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101
287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89
2871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89
2870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73
2869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72
2868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2068
2867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48
2866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46
2865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20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