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998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11
2138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51
2137 남사, 남새, 남살, 남우사스럽다 바람의종 2008.09.19 9750
2136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49
2135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46
2134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45
2133 등골이 빠진다 바람의종 2008.01.02 9745
2132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44
2131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743
2130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7
2129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31
2128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28
2127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27
2126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27
2125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24
2124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3
2123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22
2122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721
2121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19
2120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717
2119 조사 ‘밖에’ 뒤엔 부정하는 말 바람의종 2009.11.24 9716
2118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713
2117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