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973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87
1170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11
1169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73
116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54
1167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73
1166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779
116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26
116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08
1163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28
1162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71
1161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466
1160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64
1159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1158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30
1157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35
115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1155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51
1154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078
115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05
1152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01
115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271
1150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000
114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0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